세종병원

메뉴

병원소식

부천세종병원, 선천성 심장병 가진 몽골 환아 2명 의료나눔

  • 등록일 : 2024-10-10

20241010_몽골환아.png
▲ 부천세종병원에서 의료나눔으로 심장치료를 받은
몽골 국적 A군(4세 · 오른쪽)과 B군(1세 · 왼쪽)이
건강을 회복한 뒤 기념촬영
 
────────
 
국내 유일 심장전문병원 부천세종병원
(병원장 이명묵)에서
선천성 심장병을 가진 해외 환아들이
의료나눔을 통해 치료받고 희망을
되찾았습니다.
 
부천세종병원은 몽골 국적 A군(4)과
B군(1)에 대한 심장 수술 및 시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8일(화)
밝혔습니다.
 
이들은 모두 퇴원해 최근 무사히
고국으로 돌아갔습니다.
 
A군은 태어나서부터 좌심실과
우심실 사이의 중간 벽(중격)에
구멍(결손)이 있는 심실중격결손
(VSD)을 보였습니다.
심비대와 폐울혈 등이 확인됐으며,
성장 지연과 운동 시 호흡곤란 등이
동반됐습니다.
 
부천세종병원 의료진은 A군에 대해
경피적 심실중격결손 폐쇄술을
시행했습니다.
 
이 시술은 대표적인 비절개술의 하나로
가슴 절개 등을 시행하지 않고
허벅지 혈관에 미세 도관
(카테터)을 삽입해 심장으로 접근,
결손을 막는 치료법입니다.
흉터와 통증을 줄이고 빠른 회복에
도움을 줍니다.
 
부천세종병원 소아청소년과
장소익 부장은
"A군은 심실중격결손으로 매우 위중한
합병증인 폐고혈압과 승모판
판막 역류 등을 보였다"며
"이 경우 치료 시기를 놓치면 추후
치료가 매우 어려운데 다행히
늦지 않게 치료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B군은 우심방과 좌심방 시아의 벽
(중격)에 구멍(결손)이 있는
심방중격결손(ASD)을 보였습니다.
내원 당시 심장이 많이 부어 있었고,
심장 문제로 폐 상태도 위중했습니다.
역시 성장 지연과 운동 시 호흡곤란
등이 동반됐습니다.
 
B군은 개흉을 통한 심방중격결손 폐쇄술을 받았습니다. 심방중격결손도
일반적으로 시술 치료가 가능한데
B군은 결손 부위가 너무 커서
심방중격이 거의 존재하지 않은 상태라
수술이 불가피했습니다.
 
부천세종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이창하 진료부원장은
"B군이 가진 심방중격결손의 경우
대부분 증상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방치할 경우 심비대 및 심부전, 부정맥,
폐고혈압 등으로 진행하게 돼
예후가 불량할 수 있다"며
"다행히 늦지 않게 치료했으며,
상태가 호전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의료나눔 국내 초청과 진료비 후원은
사마리안퍼스코리아, 부천세종병원
(의료나눔기금 사랑yes)이
각각 담당했습니다.
 
부천세종병원 이명묵 병원장은
"대부분 선천성 심장병은 늦지 않게
치료하면 빠르게 회복할 수 있으며,
치료 후에도 정상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다"며
"늦지 않게 치료할 수 있도록 도움 주신
많은 분에게 감사드리며,
국내 유일 심장전문병원으로서 앞으로도
'심장병 없는 세상을 위하여'라는
병원 설립이념을 따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선택진료
선택진료란?
선택진료료란 환자나 보호자가 특정한 의사를 선택해 진료받았을 때 추가 부담하는 비용으로, 건강보험(의료급여) 기본 진료비용의 정해진 범위 내에서 지불하며 보험혜택을 받을 수 없는 비급여 비용 입니다.
진료항목 선택진료료 산정기준
진찰료
(의과, 치과, 한방)
국민건강보험 기본진찰료의 40% 이내 산정
※ 진찰료 = 기본진찰료 + 외래관리료
입원료
(의과, 치과, 한방)
국민건강보험 입원료의 15% 이내 산정
검사
(의과, 치과, 한방)
국민건강보험 검사료의 30% 이내 산정
영상진단 및
방사선치료
(의과, 치과, 한방)
국민건강보험 영상진단료의 15% 이내 산정
국민건강보험 방사선치료료의 30% 이내 산정
국민건강보험 방사선혈관촬영료의 60% 이내 산정
마취
(의과,치과)
국민건강보험 마취료의 50% 이내 산정
정신요법
(의과)
국민건강보험 정신요법료의 30% 이내 산정 (심층분석 제외)
국민건강보험 심층분석료의 60% 이내 산정
처치·수술
(의과, 치과, 한방)
국민건강보험 처치 및 수술료의 50% 이내 산정
침·구 및 부항 국민건강보험 침·구 및 부항료의 50% 이내 산정
선택진료 의사란?
선택진료 의사는 해당 진료과의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후 10년이 경과 하거나,대학병원의 조교수 이상의 자격을 갖춘 의사입니다.